외국어 숙어집

ko 이유 말하기 1   »   fr argumenter qc. 1

75 [일흔다섯]

이유 말하기 1

이유 말하기 1

75 [soixante-quinze]

argumenter qc. 1

번역을 보고 싶은 방법을 선택하세요.   
한국어 프랑스어 놀다
당신은 왜 안 와요? P---quoi--e -e-----ou--p-- ? P_______ n_ v_________ p__ ? P-u-q-o- n- v-n-z-v-u- p-s ? ---------------------------- Pourquoi ne venez-vous pas ? 0
날씨가 너무 나빠요. Le --m-- --t-t--p ----a--. L_ t____ e__ t___ m_______ L- t-m-s e-t t-o- m-u-a-s- -------------------------- Le temps est trop mauvais. 0
저는 날씨가 너무 나빠서 안 가요. J--n- -i-ns---s p--c- q-e l---emps-e-t----p --uv--s. J_ n_ v____ p__ p____ q__ l_ t____ e__ t___ m_______ J- n- v-e-s p-s p-r-e q-e l- t-m-s e-t t-o- m-u-a-s-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Je ne viens pas parce que le temps est trop mauvais. 0
그는 왜 안 와요? Pou-q-o- -e--ien---l pa--? P_______ n_ v_______ p__ ? P-u-q-o- n- v-e-t-i- p-s ? -------------------------- Pourquoi ne vient-il pas ? 0
그는 초대 받지 않았어요. I---’--t p-- in-it-. I_ n____ p__ i______ I- n-e-t p-s i-v-t-. -------------------- Il n’est pas invité. 0
그는 초대 받지 않아서 안 와요. Il -e --e-- pas --rc--q---l n’es--pas -----é. I_ n_ v____ p__ p____ q____ n____ p__ i______ I- n- v-e-t p-s p-r-e q-’-l n-e-t p-s i-v-t-.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Il ne vient pas parce qu’il n’est pas invité. 0
당신은 왜 안 와요? Pourq-----e--i--s-t----- ? P_______ n_ v_______ p__ ? P-u-q-o- n- v-e-s-t- p-s ? -------------------------- Pourquoi ne viens-tu pas ? 0
저는 시간이 없어요. Je n--i pa- le--e-p-. J_ n___ p__ l_ t_____ J- n-a- p-s l- t-m-s- --------------------- Je n’ai pas le temps. 0
저는 시간이 없어서 안 가요. Je n- vien- -a--pa-c- qu- -- --ai p-- -e-t-m-s. J_ n_ v____ p__ p____ q__ j_ n___ p__ l_ t_____ J- n- v-e-s p-s p-r-e q-e j- n-a- p-s l- t-m-s-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Je ne viens pas parce que je n’ai pas le temps. 0
당신은 왜 안 머물러요? P----uoi----re---s--u pa--? P_______ n_ r________ p__ ? P-u-q-o- n- r-s-e---u p-s ? --------------------------- Pourquoi ne restes-tu pas ? 0
저는 아직 일해야 해요. J- -ois e------t-av-i----. J_ d___ e_____ t__________ J- d-i- e-c-r- t-a-a-l-e-. -------------------------- Je dois encore travailler. 0
저는 아직 일해야 해서 머무르지 않아요. Je-n- r---- p---parce---- j- ---s--ncor- -r---il-er. J_ n_ r____ p__ p____ q__ j_ d___ e_____ t__________ J- n- r-s-e p-s p-r-e q-e j- d-i- e-c-r- t-a-a-l-e-.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Je ne reste pas parce que je dois encore travailler. 0
당신은 왜 벌써 가세요? Pour-uo- par--z-v--- dé---? P_______ p__________ d___ ? P-u-q-o- p-r-e---o-s d-j- ? --------------------------- Pourquoi partez-vous déjà ? 0
저는 피곤해요. J- --is fat-g-é. J_ s___ f_______ J- s-i- f-t-g-é- ---------------- Je suis fatigué. 0
저는 피곤해서 가요. J--p-rs d--à-p---e --e ---su-s-f-t-g-é. J_ p___ d___ p____ q__ j_ s___ f_______ J- p-r- d-j- p-r-e q-e j- s-i- f-t-g-é-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Je pars déjà parce que je suis fatigué. 0
당신은 왜 벌써 가세요? Po-----i pa-t---vo---déj--? P_______ p__________ d___ ? P-u-q-o- p-r-e---o-s d-j- ? --------------------------- Pourquoi partez-vous déjà ? 0
벌써 늦었어요. Il---t---j--ta--. I_ e__ d___ t____ I- e-t d-j- t-r-. ----------------- Il est déjà tard. 0
저는 벌써 늦어서 가요. J- p-rs-dé-- ---c- -u--l --t -éjà tard. J_ p___ d___ p____ q____ e__ d___ t____ J- p-r- d-j- p-r-e q-’-l e-t d-j- t-r-. 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 Je pars déjà parce qu’il est déjà tard. 0

모국어 = 감정적, 외국어 = 이성적?

우리가 외국어를 배우면 뇌를 자극한다. 학습을 통해 우리의 사고가 바뀐다. 그리는 보다 창의적이고 유연해진다. 다개국어 구사자들은 또한 복합적인 사고를 쉽게 한다. 공부할 때 기억력이 훈련된다. 우리가 많이 배울 수록 기억력이 좋아진다. 많은 언어를 배운 자는 다른 것도 보다 빨리 배운다. 그는 보다 오랜 시간동안 하나의 주제에 관해 고민할 수 있다. 과제를 그래서 보다 빠르게 푼다. 다개국어 구사자들은 그래서 결정도 더 잘 내릴 수 있다. 하지만 그들이 결정하는 방법도 언어에 따른다. 우리가 사고를 하는 언어는 우리의 결정에 영향을 준다. 심리학자들은 한 연구를 위해 여러 명의 실험 대상자들을 조사했다. 모든 실험 대상자들은 2개국어 구사자들이었다. 그들의 모국어 이외에 다른 한 언어도 구사했다. 실험 대상자들은 하나의 질문에 답변을 해야 했다. 그 질문에서는 하나의 문제를 푸는 것이 다뤄졌다. 실험 대상자들은 이때 두 개의 옵션 사이에 선택을 해야 했다. 하나의 옵션을 다른 옵션보다 현저히 더 위험했다. 실험 대상자들은 이 질문을 두 개의 언어 상으로 답변해야 했다. 그리고 언어가 바뀌면 그 잡변도 바뀌었다! 그들이 모국어를 구사할 때는 모험을 선택했다. 외국어에서는 그러나 안전한 옵션을 선택했다. 이 실험을 마치고 실험 대상자들은 내기를 걸어야 했다. 이때도 현저히 차이점이 나타났다. 외국어를 사용할 때 이들은 보다 합리적으로 행동했다. 학자들은 우리가 외국어를 구사할 때 보다 집중을 잘한다고 추측한다. 결정을 그래서 감정적으로가 아니라 이성적으로 내린다.